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100
- docker
- linux time
- 리눅스 파일확인
- dmesg
- TensorFlow
- ethtool
- 리눅스 기본명령어
- 도커 설치
- uname
- 도커
- set-time zone
- nvidia-docker
- NGC
- nvidia
- 리눅스 날짜 시간 설정
- ifconfig
- TAIL
- linux date
- netplan
- V100
- sysstat
- 모니터링
- CUDA
- python
- 엔비디아 도커
- Cat
- sudoer
- 우분투
- 리눅스 날짜
- Today
- 122
- Total
- 156,138
목록Linux Engineer (29)
또이리의 Server Engineer

리눅스 파일보기 명령어 - cat, more, less, head, tail 리눅스 파일보기 명령어 - 기본 명령어 cat, more, less, head, tail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기본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리눅스 OS에서 사용이 가능하니 알아 두시면 도움이 돼 실 겁니다. 서버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무조건 알고 있어야 되는 명령어라 생각합니다. 일단 cat, more, less, head, tail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at /경로/파일 | more, less, head, tail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화면과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리눅스 파일보기 명령어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

Linux time / date 설정 명령어 - 날짜 / 시간 Linux time / date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시간과 날짜를 설정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est 환경은 ubuntu 18.04.4 server version입니다. timedatectl root@ubuntu:~# timedatectl Local time: Mon 2021-02-15 20:50:38 EST Universal time: Tue 2021-02-16 01:50:38 UTC RTC time: Tue 2021-02-16 01:50:38 Time zone: America/New_York (EST, -0500) System clock synchronized: yes systemd-timesyncd.serv..

Tensorflow install (NVIDIA NGC) 텐서플로우 설치 TensorFlow nvidia-docker install 오늘은 docker를 통하여 간단하게 tensorflow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도커를 이용해서 텐서플로우를 사용하실 거라면, 엔비디아 드라이버, 도커-ce, nvidia-docker만 설치를 하면 됩니다. 엔비디아 드라이버 설치 엔비디아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레포지터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가 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 테스트 OS는 ubuntu 16.04.7 LTS server 입니다. 그래픽카드 즉, GPU는 RTX 3090입니다. root@ubuntu:~# apt-add-repository p..

FIO test - NVMe / SSD / HDD 속도 테스트 FIO test HDD 속도 테스트 이번 스토리는 하드디스크의 read, write IOPS와 bandwidth를 테스트할 수 있는 FIO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ubuntu 18.04.4 기반입니다. 아이옵스(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IOPS)는 HDD, SSD, SAN 같은 컴퓨터 저장 장치를 벤치 마크하는 데 사용되는 성능 측정 단위다. 대역폭(bandwidth)은 주어진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정보가 데이터 연결을 통과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대개 초당 메가비트 (Mbps) 또는 초당 기가비트 (Gbps)와 같이 초당 비트 수 (bps)의 배수로 측정됩니다. fio에서는 대역폭..

리눅스 ls 명령어 - 기본 명령어 기본 명령어 이번 스토리는 초심으로 돌아가서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계열 OS를 설치하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ls 명령어입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전 우분투를 애용합니다. 이번에도 역시 우분투 18.04.4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redhat 또는 centOS도 다 비슷하거나 똑같습니다. 하하, 예를 들면 우분투에 최상위에서 /bin, /boot, /dev, /etc, /home, /lib, /media, /mnt, /opt, /proc, /root, /tmp, /usr, /var 등 이런 기본 디렉터리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현재 위치에 어떤 디렉터리 및 파일이 위치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ls 명령어입니다. dos..

우분투 패스워드 초기화 ubuntu passwd reset 우분투 패스워드 분실 초기화 이번 스토리는 우분투를 사용하다가 패스워드를 잊어먹거나, 루트 패스워드가 필요한데 상황이 여의치 않을 때, 패스워드를 아예 초기화시켜 버리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관리자나, 담당자 컨펌을 받고 작업하시기 바랍니다.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테스트는 ubuntu server 18.04.4 버전으로 진행했습니다. 1. 시스템을 재부팅 시킵니다. 2. shift 버튼을 누르셔서 GNU GRUB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시면, 일단 성공입니다. 3. 이제 저화면 *Ubuntu에 하얀색 바가 있는 상태로 키보드의 알파벳 e 키를 살포시 눌러줍니다. 그러면 화면이 edit the commands b..